영화 터널, 무너진 터널에 혼자 갇히게 된다면?
집으로 가는 길, 터널이 무너졌다.
자동차 영업 대리점에서 일하고 있는 과장 정수(하정우)는 집으로 가던 중 주유소에 가게 됩니다. 할아버지가 주유를 해주고, 서비스로 받은 생수 두통과 아이의 생일선물인 케이크를 사고 집으로 향하는 정수는 터널에서 알 수 없는 소리를 듣게 됩니다. 곧바로 터널에는 불이 꺼지고 어둠이 찾아오게 됩니다.
긴 터널을 지나가던 중 갑자기 천장에 금이 가며 무너져 내립니다. 정신을 차린 정수는 휴대폰으로 119에 신고를 해서 구조대가 터널에 도착하게 됩니다. 그러나 산이 무너져 내린 것이기에 구조대가 왔다고 해서 바로 구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차 안에는 주유소에서 준 생수와 딸의 생일 케이크로 몇 끼를 나눠 먹으면서 버텨야 하는 상황입니다.
밖에서는 이 소식을 들은 아내 세현(배두나)이 애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터널이 붕괴되면서 생존자가 있다는 소식에 정부에서 사고 대책반을 꾸릴 정도로 대한민국이 들썩이고 있었습니다. 사고 대책반의 구조 대장인 대경(오달수)은 정수를 구출하기 위해 터널 설계 도면을 참고하여 정수의 위치를 파악하고 어떻게 구조할지 계획합니다.
사고 대책반의 구조 대장인 대경은 위에서 구멍을 뚫는 방식으로 하여 정수를 구축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렇게 해서 기계를 통해 천장을 뚫지만 정수 근처에는 소리가 들리지 않았습니다. 즉, 구조대들이 정수의 위치를 잘못 파악하였던 것입니다. 변경 전의 설계도면으로 인해 구조를 해야 하는 위치를 잘못 파악하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바로 작업을 할 수 없었던 사항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정수는 생존을 보장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갖고 있는 생수통에 선을 그으며 먹을 수 있는 양을 조절하면서 먹었고 심지어 자신의 오줌까지도 먹으면서 살아나가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하나의 생명이 가진 가치
비하인드 스토리를 살펴보면 다른 재난 영화와 달리 터널은 단 한 명의 희생자 정수를 그리게 됩니다. 붕괴된 터널에 갇혀 생존한 사람은 딸의 생일 케이크를 사서 퇴근하던 평범한 직장인인 정수 단 한 명뿐이었습니다. 연출을 맡은 김성훈 감독은 인간의 생명은 환산할 수 없는 가치인데, 희생자의 수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하였습니다.
오히려 한 사람이 상상할 수 없는 거대한 재난을 홀로 맞이하게 되었을 때, 외로움과 두려움은 더 배가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희생자의 수로 재난의 규모를 재단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생명이 가진 고귀한 가치를 영화 속에 온전히 담아내고 싶었다고 합니다.
영화 감상평
영화 터널은 사실 소설이 원작인 작품입니다. 소재원 저자의 '나는 텐프로였다'와 '비스티 보이즈'도 영화로 제작이 되었었고 소설 터널도 영화화되었습니다. 영화는 기본적으로 소설과 매우 비슷한 전개와 스토리로 진행이 됩니다. 그러나 소설은 비극적인 결말을 보여주지만 영화 터널은 끝까지 희망을 잃지 않았던 정우가 구조가 되고 가족 품으로 돌아가는 해피엔딩으로 결말을 맺게 됩니다.
그리고 터널은 출퇴근을 하는 우리 모두가 하루에도 몇 번을 지나가는 공간입니다. 현재 우리가 익숙하게 지나는 공간에서 어떤 예상치 못한 일들이 발생했을 때가 가장 충격적이고 공포스러운 순간일 것 같습니다. 주인공 '정수' 역시 열심히 살아가는 보통의 직장인이자 아내와 딸이 있는 평범한 가장입니다.
그런 그가 여느 때와 다를 바 하나 없던 어느 날, 매일 지나가던 터널이 무너져 내리고 일순간 그의 일상도 함께 무너져 내리면서 이야기가 전개가 되는데 굉장히 공포스러운 이야기입니다. 또한, 영화에서 눈여겨볼 포인트는 바로 단독 보도와 관련된 이슈였습니다. 실제로 어떤 사건 사고가 발생하면 사람들은 특종과 단독보도에 혈안이 되기 마련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부실 공사로 물의를 일으킨 시공 업체와 실질적인 구조는 뒷전인 채 윗선에 보고하기 급급한 정부 고위 관계자들까지 우리의 현실을 아주 과감 없이 풍자한 스크린 속 모습은 씁쓸한 생각과 답답함을 불러일으킵니다. 그리고 실제로 터널 안에 갇힌 정수는 생사와 관련해서 굉장히 공포스러운 상황이지만 터널 밖에서의 사람들은 평범한 나날들을 보내고 이러한 이슈에 큰 관심을 보이다가 점점 무관심해지는 반응까지 너무 현실적인 것 같아서 더욱 재미있게 영화를 본 것 같습니다.